이 글은 에어테이블을 처음 시작하는 분들을 위해 워크스페이스, 베이스, 테이블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는 문서입니다.
목차
1. 에어테이블 시작하기
2. 워크스페이스 만들기
3. 베이스 만들기
4. 테이블 설정하기
5. 요약 및 결론
1. 에어테이블 시작하기
이 글에서는 에어테이블에 방금 가입해서 무엇을 어떻게 시작하셔야 할 지 난감한 분들을 위해 워크스페이스와 베이스, 그리고 테이블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에어테이블은 익숙해지면 매우 직관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플랫폼이지만,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한 웹사이트를 처음 접해보시는 분들이라면 초반에 진입장벽 때문에 이 플랫폼을 활용하지 못하시는 경우가 있을 것 같아서 이 글을 통해 최대한 문턱을 낮추어 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.
에어테이블 웹사이트에 처음 들어가서 가입을 하시고 나면 어떤 업계에 속해 있는지를 묻는 간단한 질문이 나타납니다. 이에 응답하시고 나면 다음과 같은 초기화면이 나타납니다.
![[에어테이블 사용법 왕초보편] 워크스페이스, 베이스, 테이블 만들기 - 1. 에어테이블 시작하기 에어테이블-가입-직후-초기화면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첫 가입자를 위해 에어테이블 베이스를 만드는 세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, 좌측부터 차례로 다음과 같습니다.
- Start from scratch: 빈 베이스를 처음부터 직접 만들어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
- Quickly upload: 스프레드시트를 업로드 하거나 다른 서비스와 연동하여 자료 임포트하는 방법입니다.
- Start with templates: 이미 만들어져 있는 템플릿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
이글에서는 첫 번째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며, 두 번째, 세 번째 방법에 대해서도 나중에 기회가 되는 대로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.
2. 워크스페이스 만들기
먼저 워크스페이스를 만들어 보겠습니다. 에어테이블에서 워크스페이스는 공동 작업 공간입니다. 한 계정에 여러 워크스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으며, 어떤 워크스페이스는 팀원들과 공유하고, 어떤 워크스페이스는 혼자 사용하거나, 또 다른 팀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 우선 워크스페이스를 만들어 보겠습니다. 좌측 메뉴에서 ‘All workspaces’ 옆의 ‘+’ 버튼을 누르시면 새로운 워크스페이스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.
![[에어테이블 사용법 왕초보편] 워크스페이스, 베이스, 테이블 만들기 - 2. 워크스페이스 만들기 에어테이블-새로운-워크스페이스-만들기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바로 새로운 워크스페이스가 오른쪽에 생성되며, 원하시는 이름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.
![[에어테이블 사용법 왕초보편] 워크스페이스, 베이스, 테이블 만들기 - 2. 워크스페이스 만들기 에어테이블-워크스페이스-이름-정하기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이 글에서는 ‘학원관리’라는 워크스페이스를 만들었습니다. 이렇게 워크스페이스를 만드시면 학원의 다른 선생님들과 함께 워크스페이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. 워크스페이스의 이름은 우측의 점 세개를 누르시면 나타나는 ‘Rename workspace’ 메뉴를 통해 언제든지 수정하실 수 있습니다.
![[에어테이블 사용법 왕초보편] 워크스페이스, 베이스, 테이블 만들기 - 2. 워크스페이스 만들기 [에어테이블 사용법 왕초보편] 워크스페이스, 베이스, 테이블 만들기 - 2. 워크스페이스 만들기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3. 베이스 만들기
이제 학원관리 워크스페이스가 만들어졌습니다. 이제는 베이스를 만들어보겠습니다. 에어테이블에서 ‘베이스’는 여러 테이블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부르는 말입니다. 에어테이블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능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이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먼저 맨 왼쪽의 ‘Start from scratch’ 버튼을 눌러 베이스를 생성해보겠습니다.
![[에어테이블 사용법 왕초보편] 워크스페이스, 베이스, 테이블 만들기 - 3. 베이스 만들기 [에어테이블 사용법 왕초보편] 워크스페이스, 베이스, 테이블 만들기 - 3. 베이스 만들기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XfQfQ/btsu2dH4H76/S1aSF2rgrVZtSpnt28YrH0/img.png)
그런데 위의 세 가지 메뉴는 첫 번째 워크스페이스에만 나타나고, 두 번째 워크스페이스부터는 나타나지 않습니다. 하지만 ‘Create base’라는 버튼이 중간에 떡하니 나타나기 때문에 이 버튼을 누르셔서 새로운 베이스를 생성하시면 됩니다. 이렇게 베이스가 만들어졌고, 제목은 ‘Untitled Base’라고 되어 있습니다.
![[에어테이블 사용법 왕초보편] 워크스페이스, 베이스, 테이블 만들기 - 3. 베이스 만들기 에어테이블-베이스-초기화면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ncCs/btstwXz1Uk0/iZ0vTXOfor69e8gozYyWY1/img.png)
이제 베이스 제목을 바꿔보겠습니다. 제목 옆의 아래 방향 화살표를 클릭하시면 아래처럼 베이스 제목을 바꾸실 수 있고, 베이스의 색깔과 아이콘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. 파스텔톤은 유료 회원들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
![[에어테이블 사용법 왕초보편] 워크스페이스, 베이스, 테이블 만들기 - 3. 베이스 만들기 에어테이블-베이스-설정하기-1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EJoL/btstsOwWxl3/lxHmsAkZ3kIKpg3X2wo1K1/img.png)
저는 베이스 제목을 ‘고객 관리’라고 정하고, 핫핑크와 사람 모양 아이콘을 선택했습니다.
![[에어테이블 사용법 왕초보편] 워크스페이스, 베이스, 테이블 만들기 - 3. 베이스 만들기 에어테이블-베이스-설정하기-2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5Ts5g/btstq0dAOVD/QykNb7Yq64M9cWPKkSxVA1/img.png)
4. 테이블 설정하기
아까 말씀드린 것처럼, 에어테이블에서 베이스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여러 테이블의 모음입니다. 베이스가 생성될 때 첫번째 테이블은 이미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, 테이블의 이름만 한 번 바꿔보겠습니다. ‘Table 1’ 옆에 있는 아래 방향 화살표를 누르신 후 ‘Rename Table’을 선택하시면 테이블의 이름을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.
![[에어테이블 사용법 왕초보편] 워크스페이스, 베이스, 테이블 만들기 - 4. 테이블 설정하기 에어테이블-테이블-이름-변경하기-1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Ikk1A/btsts3AM7GE/Tu2hx0aa5IBxzxcHSbVvNK/img.png)
저는 첫 번째 테이블의 이름을 ‘학생’으로 해 두었습니다. 이제 이 테이블은 학생 한 명 한명에 대한 데이터를 담게 됩니다. 즉, 이 테이블 안에서는 첫 번째 칼럼에 학생들의 목록이 세로로 나열되게 되고, 가로로 한 줄 한 줄에 학생의 전화번호, 이메일 등과 같은 정보가 들어가게 됩니다.
![[에어테이블 사용법 왕초보편] 워크스페이스, 베이스, 테이블 만들기 - 4. 테이블 설정하기 에어테이블-테이블-이름-변경하기-2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AEVcq/btsvvB2U9ms/mUj44LANS7CVTur0PLYggK/img.png)
아래 ‘What should each record be called?’는 비교적 새로운 기능으로, 그 테이블에 포함된 한 줄 한 줄의 데이터를 뭐라고 부를지 선택하게 되어 있습니다. 다른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이 한 줄 한 줄의 정보를 ‘레코드’라고 부르는데, 에어테이블에서는 명칭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. 이는 자동화 등 에어테이블의 다른 기능들과 연동하였을 때 더 사용자 친화적인 언어를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입니다. 저는 ‘Student’라는 옵션을 선택하였습니다.
5. 요약 및 결론
위와 같이 에어테이블을 처음 시작하는 분들을 위한 가이드를 적어보았습니다. 이 글에서 다룬 내용은 워크스페이스, 베이스, 테이블 생성 방법, 초기 설정을 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, 매우 기초적인 내용입니다. 이 글을 통해 에어테이블에 입문하게 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 및 협업에 에어테이블을 잘 활용하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.
다음 게시물들은 에어테이블에 대한 소개 및 제가 개인적으로 에어테이블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. 이 글을 보고 관심이 생기셨다면 한 번 읽어봐 주셨으면 좋겠습니다.
에어테이블(Airtable) 소개 및 특징
1. 에어테이블(Airtable)이란? 에어테이블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서비스이다. 에어테이블을 엑셀과 같은 스프레트시트에 비교하는 사람들도 많지만, 에어테...
inapecanshell.tistory.com
에어테이블(Airtable) 프리랜서 프로젝트 관리 자작 템플릿
1. 지난 글 소개 지난 글에서는 에어테이블(Airtable)이 클라우드 기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라는 것과, 이러한 서비스가 유용한 이유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다. 이번 글에서는 개인적...
inapecanshell.tistory.com
'IT∙인터넷 > Saa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션에 가입하자마자 해야할 일 네 가지 (0) | 2023.09.21 |
---|---|
구글 Looker Studio를 사용해서 구글 애널리틱스 대시보드를 노션에 임베드하기 (1) | 2023.09.19 |
에어테이블(Airtable) 소규모 자영업자 고객관리 자작 템플릿 (0) | 2023.04.15 |
에어테이블(Airtable) 프리랜서 프로젝트 관리 자작 템플릿 (0) | 2023.04.05 |
에어테이블(Airtable) 소개 및 특징 (1) | 2023.04.02 |
댓글